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동물 등록제 & 반려동물 사망신고

by hanlakim 2023. 8. 16.
반응형

동물 등록제는 2014년 1월부터 전국적으로 의무 시행 중에 있으며 시. 군. 구청에 등록 승인 문의 가능합니다. 

등록의  대상 동물이라 함은 주택이나 준주택에서 기르고 있거나 그 외의 장소에서 반려를 목적으로 기르는 월령 2개월 이상의 개를 말합니다. 다만, 도서지방이나 동물 등록업무를 대행하게 할 수 있는 자가 없는 읍, 면중에서 시, 도의 조례로 정하는 지역에서는 소유자의 선택에 따라 등록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동물등록의 마이크로칩 등록 & 목걸이 등록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개체 삽입에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로칩(RFID, 무선전자개체식별장치)은 체내 이물 반응이 없는 재질로 코딩이 된 아주 작은 크기의 동물용 의료기기로서 동물용 의료기기 기준규격과 국제규격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여 만들어져 있어서 동물들에게는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외장형 무선식별장치 부착

예쁘게 디자인이 된 반려견 등록 목걸이를 많이 착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동물등록(반려견등록) 제를 실시하는 이유

집에서 기르고 있던 고양이나 강아지를 분실, 유기를 당했을 때 동물을 보호해 주고 빠른 시간 내에 주인에게 인계가 가능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 되며, 동물 소유주의  동물에 대한 책임을 더 강화시켜 주며, 유실이나 유기 동물의 발생을 낮추어 주고 인수공통전염병예방 등의 반려동물의 문화향상과 동물보호를 할 수 있도록  국가동물보호관리시스템으로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동물등록 변경 신고

  • 소유자가 바뀌거나 개명을 했을 때
  • 주소 또는 전화번호가 바뀌었을 때
  • 동물을 잃어버렸을때와 다시 찾았을 때
  • 등록 동물이 사망을 하였을 때
  • 칩이 분실되거나 파손되었을 때

 

동물등록 절차 안내

♥  최초 등록시에는 동물등록에서 무선식별장치를 하기 위해 반드시 등록대상동물과 동반하여 방문신청을 해야 합니다. 

지자체 조례에 따라서 대행업체를 통해서만 등록이 가능한 지역이 있으니, 시. 군. 구청 등록을 원할 때에는 가능여부를 사전에 꼭 확인해야 합니다.

 등록신청이 직접 방문하지 않고 대리인이 신청할 때에는 위임장과 신분증 사본등이 필요하니 등록기관에 사전에 연락하여 필요한 서류를 확인해서 준비해서 방문하기 바랍니다. 

 

동물등록을 하지 않으면 과태료 부과

 과태료는 20만원  ~ 60만 원 이하 부과

1차 20만원, 2차 40만 원, 3차 이상 60만 원

 

 변경사항 미신고 시에도 최고 4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1차 120만 원, 2차 20만 원, 3차 40만 원

 

반려동물의 사망신고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animal.go.kr)에 회원가입

로그인 후 회원정보수정

보호자 주민번호 입력

등록 동물 상태를 사망으로 선택하고 사망 사유 기재로 끝

 

 

사망신고 / 동물등록 말소 서류 준비

  • 동물등록 변경신고서 다운로드
  • 동물등록증
  • 등록동물의 폐사 증명서류-장례식장 장례확인서, 화장 증명서, 동물병원 사망확인서
  • 시. 군. 구청 방문하여 준비한 서류들을 제출합니다. 

※ 현행법상 반려동물 사망 시 30일 이내에 동물등록 말소신고를 해야 하며, 기간 내에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5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는 점 유의해야 합니다. 

 

 

동물보호관리 시스템 방문하기 이미지

 

반응형